녹향
포스트모더니즘 본문
2003년 교장자격연수 논술시험!
교원대 박성수교수의‘현대문화 이해’ 과목의 논술시험의 발제이다.
서술형 논제로 출제관의 의도와 그에 상응하는 핵심을 답하려 했던 추억이 새삼스럽다. 그 후 교육의 현장에서 8년간 학교경영영자로 ‘포스트모더니즘’ 교육의 관점을 스스로 반추하며 실천해 보는 계기가 되었다. 이제 야인의 백수로 돌아와 그 자필 논술시험 답안지를 워드로 옮겨 보니 감회가 새롭다.
논제(論題)
⌈ 현대문화를 포스트모더니즘의 측면에서 논하고 교육에서 시사점을 논하시오. ⌋
1. 들어가면서
6T와 퓨전 시대가 일컫는 현대는 정보통신의 급속한 발달로 세계문화의 동시적 양상과 더불어 동질성을 띠게 되었다. 소규모적 문화현상들이 독자성과 정당성을 인정받으면서 과거 어느 때보다 대중문화의 부상은 비판과 찬사를 동시에 받은 시대적 문화현상이 되었다. 이에 따라 모더니즘의 기존 문화적 틀과 세계관이 억압적, 독선적, 획일적인 모습을 나타낸다고 보는 근대적 특성에 대항하여 등장한 새로운 탈시대의 문화양상을 포스트모더니즘이라고 말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현대문화를 포스트모더니즘의 측면에서 살펴보고 사화와 상호 역동적 관계를 가진 교육의 새로운 시사점을 찾아보고자 한다.
2. 포스트모더니즘의 배경
1960년대 미국과 프랑스를 중심으로 일어난 문화 운동으로 학생, 여성, 흑인, 제3세계운동의 사회운동과 전위예술 및 구조주의 사상으로 개성, 자율성, 다양성, 대중성을 중시한 ‘탈이념’의 사회과학 이론에 적용되며 안티모더니즘, 후기 구조주의, 후기자본주의와 같은 맥락에 속한다.
3.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징과 문화적 흐름
포스트모더니즘은 자아 해체를 주장하고 탈정전화를 추구하는 다원주의로 양상중심의 생활양식을 정당화는 문화논리이며 시비, 선악, 귀천, 미추 등 대립적 이분법 틀을 해체시키는 특징을 나타낸다. 이러한 특징은 이성과 이념의 질서, 권위, 중심성에 대한 해체를 뜻하며 수직질서에서 수평질서를, 일방향 권위에 쌍방향 권위를, 일방적 중심에서 다문화 중심 사회로의 전환을 의미하는 다원화 개념이다. 이와 같은 포스트모더니즘은 엘리트 문화의 지배에서 배제되고 소외된 대중의 정서에 관심을 갖고 엘리트 문화의 허구적인 권위의식을 비판해체하려는 것으로 엘리트 문화와 대중문화의 이분법을 조장한 모더니즘의 사유형식을 해체하고 대중문화와 접맥을 추구한다.
4. 포스트모더니즘과 새로운 교육의 패러다임
엘리트, 남성 중심 문화의 해체를 표방하는 포스트모더니즘 문화에서 교육은 본질을 왜곡하고 사화개조의 바탕이 되는 이성과 진보에 대한 부정, 절대적이고 보편적인 지식관을 부정하는 측면에서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크다.
가. 포스트모더니즘 교육방향
모더니즘적 전달의 관점에서 변형을 추구하고 암기 위중의 획일적 교육에서 창의성을 계발하고 인지적 정의적 영역의 구분과 탐구력에 중점을 둔다.
나. 포스트모더니즘 교육방법
열린 마음으로 대화를 통한 사고와 행위를 선택하고 협력학습을 중시하며 토론탐구학습, 멀티미디어학습, 실험 및 실습, 창의적 문제해결학습방법이 촉진된다. 또한 교육에 대한 획일적이고 고정적인 사고의 틀에서 벗어나 공교육의 재개념화를 요구하며 통합교과형 교과로의 변화를 추구한다.
다. 새 패러다임의 다원성 교육
모더니즘의 교육에서 교과서를 중심으로 절대적이고 보편적인 지식이나 가치를 추구하여 이분법적이고 질서에 의한 권위적 사고를 초래하였다. 이에 반해 포스트모더니즘 교육은 교과서 중심의 일원화된 교육을 해체하고 학습자를 독립된 학습주체로 보며 개성과 다양성을 존중하고 개성의 차를 통해 문제를 해결한다. 또한 절대성과 합리성에 근거한 근대교육에 맞서 교육의 사회적 구성, 다양한 정체성의 인정 및 대화의 일리성을 강조한다.
5. 나오며
포스트모더니즘은 정보화 사회가 도래함에 따라 자아정체성을 해체하고 탈정전화를 추구하는 다원주의적 문화논리로 단순현상에서 다양화를, 사고차원의 다원화를, 마음의 문을 연 개방화를 받아들여 개방주의적 질서, 쌍방향 권위와 다원화중심 사회의 기반을 새 교육의 장에 접목시키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등장한 교육은 이성중심의 진보에 대한 믿음을 부정하고 지식과 권력관계 속에서 본래적 목적을 상실한 통제장치로써 교육을 해체하고 현대교육의 변화를 받아들이고 있다. 학교의 경영자로 이러한 새 문화적 교육관을 직시하고 현장에 탄력적 실천함은 시대적 소명이라고 본다.